티스토리 뷰
정기신혈과의 개요와 형상
정기신혈과의 개요와 형상
* 이전 내용 요약
* 형상의학에서는 남여의 구분을 신체적인 특징으로 구분한다
- 형기론
인체는 천기와 지기가 만나서 만들어진다.
남 : 천수상, 어깨가 넓다
여 : 지수상, 허리가 넓다
- 비수 : 정은 남자가 많고, 여자가 적다
흑백 : 남자는 흑, 여자는 백
강유 :
장단
- 남자 : 기가 흩어지기 쉽다
여자 : 기가 울체되기 쉽다. 담, 화. 혈이 뭉치기 쉽다
* 노인과 소아의 구분
- 노인 : 진액 부족, 구건(口乾), 입맛이 떨어짐, 허로
소아 : 변증(일종의 담금질로 장부를 든든하게 해가는 과정이다.)
변증은 열 형태로 감기로 나타나기도 한다.
변증일 때는 가만히 놔둔다.
손 등이 뜨거운면 감기, 손 바닥이 뜨거우면 장기, 손의 열이 정상이면 변증
귀에 열이나면 감기, 열이 나지 않으면 변증
* 노인과 소아는 병을 치료하기 보다는 노인은 잘 늙어가게 하고, 소아는 변증을
잘 살핀다.
1. 정기신혈과의 개요
얼굴 = 경맥들이 모였다 흩어지는 곳
- 손끝, 발끝 등 몸의 구석구석에까지 연결되지 않은 곳이 없음
- 몸에 병이 들면 얼굴에 나타날 수밖에 없음
- 특히 모든 양경맥이 다 머리까지 올라오므로 다른 신체 부위에 비해 얼굴은
추위에 잘 견디며 땀도 더 많이 흐름
얼굴 = 전신의 상태를 살필 수 있는 신호등
2. 얼굴로 진단하는 방법
얼굴형 얼굴색 이목구비의 형색
* 얼굴형이 동그란지, 네모난지, 세모난지, 갸름하게 생겼는지에 따라 서로 성격도
다르고 질병의 종류도 차이가 남
1. 얼굴형과 정기신혈
* 얼굴
- 육체와 정신의 변화상이 가장 잘 나타나는 곳
- 형상의학에서는 얼굴의 모양으로 정기신혈의 구성 상태를 알 수 있음
얼굴형태는 사대 오상으로 나타난다.
사대는 형을 이루고 오상(오장육부)은 기를 이룬다.
2. 얼굴과 장상론
* 장상론적으로 볼 때 몸 속에 내재한 장기들의 상태는 반드시 얼굴이나 체외로
형이나 색으로 발현
* 형에 대해서 "내경"이나 "동의보감"의 여러 조문에서 얼굴에 장부와 인체부위를
상응시켜 설명
* 색에 대해서는 오장, 육부, 지절의 병변이 얼굴에 반영되는 위치 및 오색과
배합 관계 설명
* 머리에서 수족삼양경이 모두 교회하기 때문에 전신의 부위와 연결되지
않는 곳이 없음
* 몸의 ㅇ느 부위에 병이 들면 반드시 얼굴에 나타날 수 밖에 없으므로,
얼굴은 전신의 건강 상태를 살필 수 있는 신호등
* "내경"에서 얼굴의 색을 보고 질병의 길흉을 판단하였다는 것
--> 얼굴은 생명의 근원이 되는 부위라는 뜻이 있기 때문
*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육체와정신의 변화상이 가장 잘 나타나는 곳은 얼굴
3. 얼굴과 정기신혈과
* 얼굴은 전신의 모든 장부, 경락과 연결되어 있어 인체의 모든 상태가 반영되는 곳
* 얼굴 속에 인체의 모든 요소가 집약되어 있는 상태가 마치 식물의 종자속에
그 종의 모든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이치와 같기 때문에 지산(芝山)은 얼굴에서
정기신혈과를 파악
* 정기신혈은 한글자로 정이라 할 수 있다.
3. 정기신혈과의 특징
정 : 등글고 부드러운 얼굴의 정과
각지고 네모난 얼굴의 기과
역삼각형 모양의 얼굴 신과
갸를한 계란형 얼굴의 혈과
1. 둥글고 부드러운 얼굴의 정과
* 얼굴이 둥글게 생김
* 성격이 항상 명랑하고 낙천적이며, 한 곳에 가만히 앉아 조용히 지내거나
누워있기를 좋아 함
* 비위가 좋아서 음식을 가리지 않고 잘 먹어 살이 찌는 경우가 많음
* 말을 잘들어주고 사교적임
* 정(精)이 누설되기 쉬움
- 간(肝)의 정이 부족하면 눈이 어지럽고 정기가 없음
- 폐(肺)의 정이 부족하면 살이 빠짐
- 신장(腎)의 정이 부족하면 허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정강이가 불펴해짐
- 비(費)의 정이 부족하면 치아의 뿌리가 드러나고 머리카락이 빠지게 됨
* 체질상 습이 많아 평소 모이 잘 붓고, 허리와 등이 아프거나 관절이 아프기 쉬움
- 피의 영양분을 세포에 전달할 때, 간질과 림프를 통해서 전달한다
- 림프는 근육운동을 통해서 전달된다
* 당뇨병, 조루, 몽설 등이 생기기 쉬우므로 섭생에 유의해야 함
* 특히 저녁을 적게 먹고, 항상 적당히 운동을 하는 것이 좋음
* 정과는 정이 부족해지기 쉽다.
* 섭생과 치법
* 섭생
- 정을 보충하려면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고, 맛이 담담한 오곡을 먹는
것이 좋음
- 죽이나 밥이 거의 끓어갈 무렵에 한가운데 걸쭉하게 모이는 밥물이 가장 좋고,
구기자, 복분자, 참깨, 산수유 등도 좋음
* 치법
- 정을 보해주거나 양기를 보해주고, 습을 제거해주는 것이 기본
- 십전대보탕, 인삼양위탕, 육미지황원, 팔미환 등
2. 각지고 네모난 얼굴의 기과
* 얼굴이 각지고 네모나게 생김
* 주관이 뚜렷하고 부지런하며 끊임없이 노력하는 형
--> 기(氣)는 원래 한 곳에 가만히 머물지 않고 끝없이 순환하고 움직이기 때문
* 공무원, 선생님
* 기과는 기가 실하거나, 반대로 기가 허해서 병이 오기 쉬움
* 여성은 기울.기체.칠기.구기.중기 등 기가 실한 증상이 생기기 쉬움
* 기가 울체되면 가슴이 답답하고, 옆구리가 결리거나 매핵기가 생기기 쉽고,
몸살이 난 것처럼 오놈이 개운치 않음
* 남성은 소기.단기증 등 기부족으로 인해 병이 오기 쉬움
* 기본적으로 보기 호근 행기순기(行氣順氣)하는 치법을 씀
-> 행기향소산, 정기천향탕, 사칠탕, 반총산, 사군자탕 등
* 우울증, 신경성 질환, 갑상선질환, 자궁질화니 생기기 쉬움
* 예방
- 기과 여성들은 기(氣)가 울체되지 않도록 운동이나 사회활동을 하여 인체에
활력을 불어넣는 것이 좋음
* 기가 울체된 경우 : 향부자, 오약, 진피, 생강, 무, 총백 등
* 기가 부족한 경우 : 인삼, 황기, 우유, 소고기 등
3. 역삼각형 모양의 얼굴, 신과
* 얼굴이 역삼각형 모양으로 생김
* 신과는 머리가 총명하고, 매사에 꼼꼼하고 분명하게 행동하는 특징이 있음
--> 머리가 총명하다는 것은 순발력이 좋다는 것이다
지구력이 떨어진다
* 화(火)의 속성을 가지고 있음
화(火)의 성질은 단단하게 굳힐 줄만 알고 부드럽게 할 줄은 모르기 때문에
매사 유연하게 대처하기 보다는 똑똑 끊어지듯 날카롭게 행동함
* 신경이 예민해서 잘 놀라고 가스이 두근 거리며, 불안해하거나 거낭증이
생기기 쉬움
* 음이 부족하고, 화가 성하여 음허화동이 잘 생기고, 하체가 약하여
허리, 다릿병이 잘 나타남
****
* 자음강화, 안신해울
자음강화탕, 온담탕, 육울탕, 가미사칠탕, 천왕보심단 등
* 신과는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지 않는 것이 좋은데,
마음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선도, 단전호흡, 명상 등을 하는 것이 좋음
* 인삼, 대추, 연자육, 백복신 등이 좋음
특히 연자육으로 죽을 쑤어 먹으면 좋음
4. 갸름한 계란형 얼굴의 혈과
* 얼굴이 계란처럼 갸름함
* 혈과는 부드러운 인상을 주며, 섬세하고 자상한 성격으로 미남 미인이 많음
* 이마에 비해 턱 주위가 두툼한 경우도 혈과로 봄
* 혈과 남성은 여성적인 면이 많아
****
* 혈과는 혈(血)이 부족해지기 쉬워서 두통과 현훈, 월경불순, 어혈병,
출혈성질환이 생기기 쉬움
* 보혈(補血), 활혈(活血), 익기(益氣)
- 사물탕, 오적산, 난간전, 쌍화탕, 익위승양탕
* 혈과는 출산 후나 교통사고, 타박상 등이 있을 때 특히 잘 치료해야 함
* 혈을 보호해주는 당귀가 좋음
* 어혈을 풀어주거나 출혈 증상이 있을 때는 생연뿌리즙을 복용하면 좋음
* 동자뇨는 허로병으로 피를 토할 때, 코피가 날 때, 각혈 등에 쓰며
어혈을 풀어주는 작용을 함
<병증>
<기본방>
'건강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형상의학] 육경형의 형상과 특징 (0) | 2018.05.24 |
---|---|
[형상의학] 오장육부의 진단과 치료 (0) | 2018.05.06 |
[형상의학 ] 2018-1 중간고사 학습정리 (0) | 2018.04.21 |
[형상의학] 정기신혈과의 이론적 근거 (0) | 2018.04.19 |
[형상의학] 5주 노소의 개요와 특징 (0) | 2018.04.08 |
- Total
- 36,715
- Today
- 2
- Yesterday
- 12
- 음악명상
- 음악과 명상
- 주제통각검사
- 정신기혈과
- 육경형
- 건강
- 집단치료
- 학습정리
- 임상의학
- 형상의학
- 인상학특강
- 명상과기치료
- 아조주갑류
- 은시가
- 관상
- 찰색
- 인상학실습
- 에센오일
- 금쇄부
- 임상심리
- 재물운
- 만트라
- 인상학
- 기치료
- 명상
- 심리
- 마의상법
- 정기신혈
- 어조주갑류
- 인지행동치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