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기신혈과의 개요와 형상 정기신혈과의 개요와 형상 * 이전 내용 요약 * 형상의학에서는 남여의 구분을 신체적인 특징으로 구분한다- 형기론 인체는 천기와 지기가 만나서 만들어진다. 남 : 천수상, 어깨가 넓다 여 : 지수상, 허리가 넓다- 비수 : 정은 남자가 많고, 여자가 적다 흑백 : 남자는 흑, 여자는 백 강유 : 장단- 남자 : 기가 흩어지기 쉽다 여자 : 기가 울체되기 쉽다. 담, 화. 혈이 뭉치기 쉽다 * 노인과 소아의 구분- 노인 : 진액 부족, 구건(口乾), 입맛이 떨어짐, 허로 소아 : 변증(일종의 담금질로 장부를 든든하게 해가는 과정이다.) 변증은 열 형태로 감기로 나타나기도 한다. 변증일 때는 가만히 놔둔다. 손 등이 뜨거운면 감기, 손 바닥이 뜨거우면 장기, 손의 열이 정상이면 변증 ..
건강 이야기
2018. 4. 15. 22:59
공지사항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36,715
- Today
- 2
- Yesterday
- 12
TAG
- 임상의학
- 인상학특강
- 기치료
- 학습정리
- 육경형
- 형상의학
- 명상과기치료
- 임상심리
- 음악과 명상
- 건강
- 인상학실습
- 에센오일
- 정기신혈
- 찰색
- 만트라
- 주제통각검사
- 인지행동치료
- 아조주갑류
- 어조주갑류
- 음악명상
- 금쇄부
- 집단치료
- 심리
- 은시가
- 인상학
- 정신기혈과
- 명상
- 마의상법
- 관상
- 재물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