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육경형의 형상과 특징
* 담체의 특징
측면 발달, 담경, 동적, 혈허
* 방곽체의 특징
전면, 방광경, 정적, 기허
1. 육경형의 정의
* 지산은 기혈이 승강부침하는 기세와 경락의 발달 상태에 따라 6가지 형상, 즉 육경형(육경형)을 창안하였음
<그림>
* 육경형은 전신에서 살필 수도 있지만, 주로 코와 눈의 승강 기세, 안면의 돌출과 함몰 상태를 관찰하여 구분함
- 태양형, 소양형, 태음형, 소음형 : 눈과 코의 승강 기세로 구분
- 양명형, 궐음형 : 안면의 돌출과 함몰 상태로 구분
<그림>
1. 눈과 코로 관찰하는 이유
왜 '눈'과 '코'로 관찰할까?
1) 상학
- 사람의 얼굴을 관찰할 때 천인지를 법(법)하여 상중하 삼정(삼정)으로 나누어 보는 상학(상학)에서 찾을 수 있다.
- 코와 눈이 위치한 부위는 인에 해당하는 중정에 속하여 천지간의 음양지기가 승강하는 발현처가 됨
- 인은 천지의 교합으로 이루어지므로 천지가 교합된 상은 ***
- 코를 통해 지의 변화를 살피고, 눈을 통해 천의 변화를 살핌
- 눈과 코는 천지의 기가 승강, 집산, 출입하는 운동에 상응하여 기혈의 승강에 따른 기세를 나타냄
2) 장상론
- 오장과 오관
<그림>
- 식물을 관찰할 때는 밖으로 드러난 잎사귀를 통해 그 식물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음
- 이와 같이 인체를 식물에 비유하여 근엽론을 적용하면, 간과 폐는 잎사귀에 속하고, 심장과 신장은 뿌리에 속함
<-->
'건강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형상의학] 주류.갑류의 형상과 특징 (0) | 2018.06.06 |
---|---|
[형상의학] 어류.조류의 형상과 특징 (0) | 2018.06.01 |
[형상의학] 오장육부의 진단과 치료 (0) | 2018.05.06 |
[형상의학 ] 2018-1 중간고사 학습정리 (0) | 2018.04.21 |
[형상의학] 정기신혈과의 이론적 근거 (0) | 2018.04.19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36,715
- Today
- 2
- Yesterday
- 12
TAG
- 심리
- 인상학
- 학습정리
- 음악명상
- 인상학특강
- 명상
- 인상학실습
- 음악과 명상
- 어조주갑류
- 주제통각검사
- 건강
- 기치료
- 아조주갑류
- 만트라
- 금쇄부
- 정기신혈
- 인지행동치료
- 관상
- 임상의학
- 에센오일
- 명상과기치료
- 마의상법
- 임상심리
- 형상의학
- 재물운
- 찰색
- 집단치료
- 은시가
- 정신기혈과
- 육경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