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활기공연구 - 1. 기 개념의 정립
1. 기 개념의 정립 01. 기에 대한 인식 02. 기에 관한 언어적 인식 - 본질 : 원기, 혈기- 상존 : 공기, 대기- 유동 : 기절, 기가 죽었다- 취산 : 기합, 기가 빠졌다- 생명력 : 천기, 활기, 곡기, 기진맥진- 감응 :생기, 살기, 열기, 냉기, 감기- 정서 : 노기, 오기, 분기, 심기, 기분 03. 2. 기 개념의 역사적 흐름 01. 하대 02. 주대 - 서주의 금문- 동주의 금문 기 개념의 형성은 자연현상의 관찰로 부터 시작되었다 03. 춘추시대 - 좌전- 국어- 주역- 노자- 논어 04. 전국시대 - 맹자- 장자- 순자 05. 한대 - 회남자
생활기공연구
2018. 9. 3. 00:41
공지사항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36,715
- Today
- 2
- Yesterday
- 12
TAG
- 정기신혈
- 음악과 명상
- 은시가
- 아조주갑류
- 임상의학
- 인상학특강
- 에센오일
- 인상학실습
- 육경형
- 명상
- 어조주갑류
- 형상의학
- 정신기혈과
- 명상과기치료
- 관상
- 인상학
- 학습정리
- 인지행동치료
- 음악명상
- 만트라
- 집단치료
- 찰색
- 심리
- 임상심리
- 금쇄부
- 주제통각검사
- 건강
- 마의상법
- 재물운
- 기치료